study/PM

[TIL 사전캠프 5] 아이스 브레이킹 리뷰/회고

TheMimk 2024. 12. 6. 15:46
목차
0. Intro - 아이스 브레이킹, 협업의 첫걸음
1. Review - 아이스 브레이킹 프로그램에 대한 팀 피드백
2. Retrospective - 팀 프로젝트 활동에 대한 회고 (KPT)
3. 이번 주 나의 학습에 대해 리뷰/회고

 

0.  Intro: 아이스 브레이킹, 협업의 첫걸음

이번 아이스 브레이킹 활동은 단순한 자기소개를 넘어, 팀원들이 서로의 경험과 강점을 공유하며 팀의 방향성을 설정하는 데 초점을 맞췄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팀으로서의 잠재력을 확인하고, 보다 효과적으로 협력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1. Review: 아이스 브레이킹 프로그램에 대한 팀 피드백

[가장 만족스러웠던 점]

  1. 팀원들의 경험과 배경을 알게 된 점
    - 서로 다른 환경과 경험을 가진 팀원들이 각자의 이야기를 공유하며, 새로운 관점과 지식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 예를 들어, 팀원들이 어떤 경력을 가지고 있는지 알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대화의 주제가 확장되었습니다.

  2. 편안한 분위기 속에서의 자유로운 대화
    - 강압적인 분위기 없이 자연스럽게 대화를 이어갔다는 점에서 모두가 편안하게 참여할 수 있었습니다.

    - 이는 대화의 적극성을 높이고, 서로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기회로 작용했습니다.

  3. 다양한 시각과 목표를 공유할 수 있었던 시간
    - 서로의 강점과 독특한 면모를 확인하며, 팀의 잠재력을 엿볼 수 있었습니다.

    - 다양한 배경과 목표가 팀 전체의 협업 방향성을 설정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개선이 필요한 점]

  1. 기록의 부재
    - 대화로만 진행하다 보니 이후 내용을 잊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었습니다.

    - 기록을 남겨두면 나중에 내용을 다시 확인하며 회고하거나 협업에 활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2. 구체적인 질문의 부족
    - 프리토킹 방식으로 진행되어 모든 팀원에게 동일한 질문을 던지지 못한 점이 아쉬웠습니다.

    - 질문 리스트를 사전에 준비했다면 대화의 깊이를 더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3. 시간 관리의 어려움
    - 빠르게 진행되다 보니 모든 내용을 충분히 다루지 못한 점이 아쉬웠습니다.

    - 대화의 흐름을 유지하면서도 적절한 시간을 확보하는 방법이 필요해 보였습니다.

2. Retrospective: 팀 프로젝트 활동에 대한 회고 (KPT)

2.1 Keep (지속하면 좋을 점)

  1. 편안하고 자유로운 분위기
    - 리더가 대화를 자연스럽게 이끌며, 팀원들이 부담 없이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 점이 좋았습니다.

    - 이러한 분위기는 팀원 간 신뢰를 형성하고 협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 적극적인 참여와 존중
    - 모두가 서로의 의견을 존중하며 대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점이 팀의 긍정적인 에너지를 높였습니다.

    - 이는 다양한 아이디어를 수용하고, 더 나은 결정을 내리는 기반이 됩니다.

  3. 개인의 강점을 활용한 대화
    - 팀원들이 자신의 강점과 경험을 바탕으로 대화를 이끌어나가며 서로를 이해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2.2 Problem (개선하면 좋을 점)

  1. 사전 준비 부족
    - 대화가 즉흥적으로 진행되다 보니 질문에 대해 충분히 준비하지 못한 점이 있었습니다.

    - 사전에 질문 리스트를 공유하고 답변을 정리해 오면 더 깊이 있는 대화가 가능했을 것입니다.

  2. 기록의 부족
    - 구두로만 진행되다 보니 중요한 내용을 놓치거나 잊어버리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 대화 내용을 기록하고 이를 바탕으로 회고를 진행하는 방식이 필요합니다.

  3. 구체적인 대화 구조 부족
    - 프리토킹 방식이 대화의 자연스러움을 높였지만, 체계적이지 못해 중요한 논의가 빠지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 질문과 답변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면 대화의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2.3 Try (개선 방향)

  1. 질문 리스트 작성 및 공유
    - 사전에 질문 리스트를 작성해 각자 답변을 준비할 시간을 제공합니다.

    - 이는 대화의 체계성과 깊이를 높이고, 모든 팀원이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합니다.

  2. 기록을 남기는 시스템 도입
    - 대화 내용을 간략히 기록하거나 체크리스트를 활용해 주요 내용을 저장합니다.

    - 이를 통해 중요한 논의와 아이디어를 지속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3. 시간 배분과 대화 구조 개선
    - 대화 주제를 사전에 정리해 시간별로 논의할 내용을 분배합니다.

    - 이를 통해 대화의 흐름을 유지하면서도 모든 내용을 다룰 수 있습니다.

3. 이번 주 나의 학습에 대해 리뷰/회고

[TIL 5-1] 나의 학습에 대해 리뷰/회고

 

[TIL 5-1] 나의 학습에 대해 리뷰/회고

목차0. Intro1. 리뷰 (Review)2. 회고 (Retrospective) 0. Intro이번 주는 새로운 지식과 경험을 쌓는 데 집중했던 시간들이었습니다. 학습 활동뿐 아니라 팀과의 협업을 통해 시각과 사고의 폭을 넓힐 수 있

mimk0101.tistory.com

 


요약

Review
- 만족스러웠던 점: 팀원들의 경험과 배경을 알게 되었으며, 편안한 분위기에서 자연스러운 대화를 통해 다양한 시각과 목표를 공유할 수 있었습니다.
- 개선점: 기록의 부재, 구체적인 질문 부족, 시간 관리의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Retrospective (KPT)
- Keep: 편안하고 자유로운 대화 분위기, 적극적인 참여와 존중, 개인의 강점을 활용한 대화 방식이 긍정적이었습니다
- Problem: 사전 준비 부족, 기록의 부재, 구체적인 대화 구조 부족이 개선이 필요합니다.
- Try: 질문 리스트 작성 및 공유, 기록 시스템 도입, 대화 주제의 시간 배분과 구조 개선을 통해 더 체계적인 진행을 시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