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PM 채용 공고 분석

TheMimk 2024. 12. 5. 19:12

[채용공고 분석]

자격요건, 우대사항 파헤치기

1.1 예) JYP360

- 주요업무: 프로덕트 매니저는 '제품의 CEO'로서 플랫폼 내 고객 경험을 최종적으로 책임집니다.
> '제품의 CEO'  = 모든 팀을 아우르는 구분 없이 일할 수 있는 사람

- 그 외 제품의 '성공'을 위한 예측 불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업무들을 범위를 두지 않고 수행합니다.

> IT업계 자체가 기존에 있던 히스토리가 없는 상황

- 고객유입, 지속적 사용성, 매출, 만족도 등의 데이터 분석 및 이를 기반으로 한 문제 해결 경험이 있는 분

> 경력직우대

- 고객에 대한 집착, 목표를 달성하려는 Grit, 불확실한 환경에 대응하는 유연한 사고를 갖춘 분
> 제작자처럼 내가 무엇을 만들 수 있는지 X > 고객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고민 O
   불확실한 환경 = 빠르게 변하는 환경

 

1.2 예) 강남언니

프로덕트 오너 > 프로덕트 매니저와 혼용해서 쓰는 말

- 고객의 요구사항과 숨은 니즈를 파악
> HOW?
리뷰/CS(VOC), 고객인터뷰 진행, 데이터 확인(예: 장바구니에서 결제X > 결제시스템이 불편한가? > 결제시스템 고치기)

- 사용자 경험(UX) 설계
> 좋은 경험을 줬다 = 바로 내 니즈가 해소되었어

- 제품 개발 전반에 대한 이해도를 보유

> 제품 개발을 해본 경험이 많으면 많을수록 좋음...(경험이 있는지)

- 애자일/스프린트/스크럼 경험이 있는 분

> 빠른 환경 속에서 빠르게 대응할수있는 사람

1.3 예)두잇
-맡은 분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목표를 설정

-제품 전략 및 로드맵 설계
> 방향성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데이터 기반으로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량

>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히스토리를 알아야 하는데, 데이터만 보면 알 수 있어야함,
그리고 설득을 하기 위해 데이터를 활용,

-SQL, 엑셀 등 기초적인 데이터 분석 역량을 갖춘 분
> SQL(=쿼리)로 데이터 추출을 해야함 예:우리 잘돼? > 매출 대시보드 확인

 

1.4 예)컬리

- 지속 가능한 고객 혜택 개선 사항 도출과 정책 수립을 통한 비즈니스 임팩트 증대

> 멤버십에 가입 시키기 위해 - 혜택을 알아볼 수 있게 메세지 전달 : 이를 잘 될 수 있게 전략짜기

-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협업하고 스펙 조율 등 프로젝트 관련 커뮤니케이션 진행

> 질문:하트만들어주세요 과정:손으로요? 종이로요? 이렇게요? > 이런식으로 진행되는건 진짜 안좋은 커뮤니케이션

즉, 내 말을 상대방이 내가 원하는 것을 바로 알 수 있게 대화하는 것이 제일 중요합니다.

- Amplitude 등을 통한 데이터 기반의 문제를 도출

> 다른 데이터 툴은 무엇이? 구글 애널리틱스(GA), 테블로 등

 

1.5 예)뱅크샐러드
- 고객의 페인 포인트를 해결하고 wow한 경험을 제공하는 제품을 제시

> wow한 경험 = 사용자경험(UX)

- 지표 개선을 위한 가설을 수립하고 검증하기 위한 테스트를 설정하며, A/B 테스트 결과 등

> 가설 감정할때 사용하는 다른 방법론:

- 데이터 드리븐 의사 결정을 하는 Lean 조직에서의 개발 경험이 있는 분

> Lean 조직 = 군더더기 없이, 핵심만 빠르게, 가장 효율적인 조직을 만들겠다.

데이터 드리븐 = 데이터 기반으로 움직인다.

- 소프트웨어 기획에서 배포 사이클을 End-to-end로 관리, 운영한 경험

> 빠르게 대처, 경험해본 사람이 바로 투입되었으면 좋겠다 (=경력직우대)

 

[QNA]

Q.PM(프로덕트매니저)과 DA(데이터분석가) 하는 일이 어떻게 다른가요?

A. PM > 제품/서비스를 개선하는데 데이터를 확인, DA > 프로덕트를 개선하는데 도움을 주는 분석가

 

Q. PM이나 기획자라는  타이틀 없이 유사 업무를 진행한 경우, 취업/직무 전환시 나를 어떻게 어필할 수 있을까요?

A. 직무 전환을 안한 사람들보다 내가 나은 점을 찾아야함.

또한, pm/기획자에게 필요한 역량을 갖추고 있으면 도움이 됨

 

Q. PM에 적합한 사람들은 어떤 유형일까요?

A. 제일 중요한건 커뮤니케이션 능력(나의 이야기를 상대방에게 전달할수있는가)
데이터를 가지고 이야기 할 수 있다(논리적) 

 

Q. PM은 수시 채용으로 많이 뽑는 직무, 대비할수있는 전략?

A. 기회를 잡기 위한 꾸준한 공부, 경험, 포폴정리

 

Q. PM 취업을 위해 어떤 역량을 준비?

A. 커뮤니케이션 능력! 모호하게 이야기 하는 순간 끝남

결국엔 논리 싸움(데이터를 볼수있는 능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