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M의 역할은 환경에 따라 달라진다
- 회사 규모, 산업군, 제품 성격에 따라 PM의 구체적인 역할이 다르다
- 본질적인 역할은 동일하지만, 세부 업무는 회사의 특성에 따라 결정된다
- PM의 역할 차이
- 기업 형태
- 인하우스(In-house): 회사 내부 제품의 지속적인 관리와 개선에 초점
- 에이전시(Agency): 클라이언트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한 단기 프로젝트 수행
- 기업 크기
- 스타트업: 모든 업무를 광범위하게 수행
- 대기업: 특정 영역에 전문화된 역할
- 제품 고객
- 내부 제품: 조직 효율성 향상에 초점
- 외부 제품: 사용자 경험과 매출 증대에 집중
- 비즈니스 모델
- B2C: 일반 사용자를 대상으로 빠르고 직관적인 경험 제공
- B2B: 기업 고객의 비즈니스 문제 해결과 ROI 증대
- 기업 형태
오늘의 인사이트
- PM의 역할은 단순히 제품 개발에 국한되지 않고, 조직의 특성과 제품의 목표에 따라 조정된다.
- 역할이 다르더라도, 문제 해결, 팀 협업, 전략적 사고는 PM의 기본 역량으로 항상 필요하다.
다음 액션 플랜
- 내가 속하고 싶은 기업과 제품 유형을 고려해, 해당 환경에서 요구되는 PM 역할을 더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 예: 스타트업에서는 광범위한 역할 수행, 대기업에서는 전문화된 업무
- 내 장단점을 점검해, 어떤 환경에서 더 잘 적응할 수 있을지 판단하기
- 장점은 극대화하고, 부족한 부분은 역량 강화 계획 세우기
'study > PM'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게스티메이션을 활용한 문제 해결 역량 키우기 (0) | 2025.01.16 |
---|---|
[TIL] 맞춤형 분반 선택에 대한 생각 (0) | 2025.01.14 |
[TIL] 서비스 기획 입문 1-1 (0) | 2024.12.30 |
[TIL] SBI 전략 (Situation-Behavior-Impact) (1) | 2024.12.23 |
[TIL] 튜터님들과 PM에 대해 고민하며 (1) | 2024.12.16 |